인텔리제이 커뮤니티 톰캣 사용 및 핫스왑(자동 리로딩)

    인텔리제이 커뮤니티 톰캣 사용 및 핫스왑(자동 리로딩)

    잊어먹을듯 하여 정리

    인텔리제이 커뮤니티 톰캣

    인텔리제이 커뮤니티에는 STS나 이클립스 처럼 내장 톰캣이나, 서버 설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Ultimate 필요)
    과거 20 얼마 주고 사용하다, 현재는 과거 구매한 것보다 커뮤니티가 더 좋은 성능을 제공해서 커뮤니티 버전사용,
    프로젝트에서도 라이센스 문제로 커뮤티니 사용하는게 낫다

    SmartTomcat

    커뮤니티에서는 개발자 한분이 플러그인으로 Ultimate의 Tomcat 설정 기능을 플러그인 스토어에 올려주어, 이것을 사용

    이것을 받으면 된다.

    해당 위치의 Current File > Edit Configurations...

      • 버튼 눌러서 smart tomcat 추가

    2.1. Tomcat server : 다운받은 톰캣 홈
    2.2. Catarina Base : 프로젝트 폴더 외부에 위치 해야함, 각각 추가한 프로젝트의 Tomcat의 conf 등 설정파일 생성됨
    2.3. Deployment Directory : src 밑 webapp 폴더 추가
    2.4. Use classpath of module : 프로젝트
    2.5. Context path : / (localhost:8080/ ... or or /my_project -> localhost:8080/my_project/ 원하는대로)
    2.6. Before launch :
    2.6.1 : +버튼 누름
    2.6.2 : Run Gradle Task


    2.6.3 : Gradle Project : 프로젝트
    2.6.4 : Tasks : bootRun
    2.7 적용

    핫스왑(자동 리로딩)

    sts처럼 dependencies에 추가하고 왜 안되지 ? 하고 있다 검색해 알게 되었다...

    1. build.gradle 파일, dependencies 항목에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추가 dependencies {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

    1. 추가 후 Gradle 리로드 클릭 build.gradle에서 수정이 일어나면 우측 상단에 표시됨

    1. 설정
      1. File > Settings > Build, Excution, Deploymen > Compiler > Build Project Autimatically 체크
      1. File > Settings > Advenced Setting > Compiler > Allow auto-make to start even if developed application is currently running 체크

    댓글